Woosung Choi ws-choi

Recent Trends in Deep Learning 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최근 딥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어처리)나 Text Mining 기법들이 Top Conference에 많이 투고되고 있다. 현재 우리 연구실에서도 이러한 트렌드를 쫓아가려고 최신 연구동향 Survey paper

Young, Tom, et al. “Recent trends in deep learning 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eee Computational intelligenCe magazine 13.3 (2018): 55-75.

를 분석하고 있다. 운 좋게도 이기창 선배님 블로그 ratsgo’s blog에 해당 논문이 한글로 잘 번역되어 있어서 페이퍼 읽는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본 블로그는 이 페이퍼와 ratsgo’s blog를 읽으며 정리하면서 쓰는 노트이다.

주의: 본 블로그에는 서베이 페이퍼 및 rasgo 블로그 이외에도 많은 개인적 추측과 사족을 달고 있습니다. 또한 아직 작성 중인 블로그입니다.


Abstract

다 읽고 나서 쓰겠습니다. TBC

Introduction

자연어처리(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이후 NLP)와 Deep Learning 등에 대한 연구 배경이 나온다. Introduction의 본론만 간추려서 말하자면

최근 Dense vector representation 기반의 신경망 기법들은 다양한 NLP task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트랜드는 word embedding [2,3] 과 deep learning [4] 기법의 성공 덕에 촉발되었다. 그러니 NLP에 사용되는 다양한 딥러닝 모델 및 기법에 대해 살펴보겠다.

로 요약할 수 있다.

Distributed Representation

Distributed Representation은 왜 필요하며, 어떤 기법들이 있는가가 이 챕터의 핵심이다.

  • Distributed Representation은 왜 필요한가? 이 논문에서는 딥러닝 이전의 NLP 기법을 통계적 NLP (Statistical NLP)로 통칭하나보다. 여튼 이 전통적인 NLP 기법은 차원의 저주 (curse of dimensionality) 문제가 발생한다고 한다. [7]번 논문에서 설명되어있다는데 내용이 아주 길어서 안읽었다. 일단 받아드리고 나중에 읽어야지.
  • Distributed Representation에는 어떤 기법이 있는가?
    • Word Embeddings
    • Word2Vec (Word Embedding의 일종)
    • Character Embeddings

Distributed Representation - Word Embeddings

Word Embedding 기법은 ‘단어’를 ‘d-차원의 vector’로 embedding (mapping과 비슷하게 해석하면 될 듯함) 시키는 기법을 총칭하는 듯하다. 그러나 단어를 단순하게 vector 형식으로 표현하는 기법을 거창하게 distributed representation 이라고 부르는 것 같진 않다. Bag of Words도 단어를 벡터로 보낸다는 점에서 보면 Word Embedding이지 않은가? 서베이 논문에서는, Distributional vector 또는 word embedding은 다음 핵심 가정 (Distributional Hypothesis)을 따른다고 한다.

  • Distributional Hypothesis: 같은 문맥에서 사용되거나 나타나는 (occur) 단어들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Words that are used and occur in the same contexts tend to purport similar meanings (Wikipedia)

(사족: 사실 이 정의는 서베이 논문에서 나온 표현은 아니고, 위키피디아 표현이다. 이 표현이 본 게시글의 논리 전개에 더 적합한 듯하여 위키피디아 표현을 빌렸다.)

그렇다면 이 가정을 도대체 어디다가 쓰는가? 서베이 논문에서는 입문자가 이해하기에는 다소 불친절하하게 설명되어 있다. 문제의 문장을 살펴보자.

Thus, these vectors try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rs of a word.

여기서 읽다가 좀 막혔다. Word embedding 기법이 Distributional Hypothesis를 기반으로 하는 것과, Word embedding 기법이 추구하고자 하는 바 (직역: 벡터들은 주변 단어의 특성을 담아내야한다.) 가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입문자인 내게는 다소 비약처럼 느껴졌다. 개인적인 추측을 더해 서베이 논문에서의 매우 압축된 논리 전개에 살을 붙여 진술해보겠다.

  1. 기법에서 사용하는 핵심가정
    • 같은 문맥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2. 은근슬쩍 끼워놓은 가정
    • 문맥을 관찰 가능한 텍스트, 즉 단어의 sequence라고 정의하자.
  3. 은근슬쩍 입맛대로 바꾼 핵심가정
    • 서로 다른 두 단어 w1w2가 사용되는 텍스트들을 조사했을 때 주변에서 나타나는 단어들의 패턴이 비슷하다면, 두 단어의 뜻도 유사할 것이다.
  4. 암묵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Embedding의 성질
    • 서로 다른 두 단어 w1w2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면, 이 둘을 embedding시켰을 때의 벡터값이 유사해야한다.
  5. 결론
    • 4를 만족시키려면 비슷한 의미를 가진 서로 다른 두 용어를 embedding 시켰을 때의 벡터값도 유사하도록 유도해야한다.
    • 이를 위해서는 타겟 단어의 주변에서 나타나는 다른 단어들의 패턴을 조사해야한다.
    • 즉, 타겟단어의 주변 단어들의 특징을 조사해야해야 암묵적으로 추구해야하는 embedding의 성질을 만족하며 Distributional Hypothesis를 따르는 embedding이 가능하다.